T87 GROUND FAULT LOOP 1
통신선에 접지 장애 발생
Last updated
통신선에 접지 장애 발생
Last updated
이 장애가 발생된 상태에서는 수신기가 이상동작할 수 있습니다. 즉시 조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접지 고장 장애 GROUND FAULT TROUBLE는 AMPS-24 혹은 시스템 내부에 접지 장애가 있음을 의미하며, 이 장애는 신호선로회로(SLC)에 접지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루프제어카드(LCM-320 / LEM-320) 카드는 정상 상태에서 최대 130mA의 전류를 출력하게 됩니다. 하지만 접지가 발생하면, 최대 250mA까지 전류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루프제어카드가 쉽게 고장날 수 있습니다. 루프 제어 카드에 접지가 발생하면, 다음의 상태 LED가 동작하게 됩니다.
LCM-320 / LED28번 : LCM-320의 신호선로회로에 접지가 발생했음을 의미합니다.
LCM-320 / LED32번 : LEM-320의 신호선로회로에 접지가 발생했음을 의미합니다.
접지 장애를 감시하는 원리는 접지 장애 GROUND FAULT TROUBLE와 매우 유사합니다. 단지 신호 파형의 모양과 Peak to Peak가 다를 뿐입니다.
아래는 신호 선로회로의 (+), (-)의 신호 파형을 스코프메타(Scope Meter)로 측정한 것입니다.
접지 장애 GROUND FAULT TROUBLE와 마찬가지로, (+) 배선에 접지가 발생하면, (+)선은 0V가 되며, (-)선은 -12 ~ -19V가 측정됩니다.
(-)배선에 접지가 발생되면, (+)선은 12 ~ 19V가 되고, (-)선은 0가 됩니다.
배선을Style-4 (Class-B)로 만든후, 기기를 구역별로 혹은 개별로 루프제어카드에 연결하여 접지 장애가 뜨는 기기의 배선 상태를 확인하시면 찾으실 수 있습니다.
위의 배선 개요도에서 상단의 배선 구성은 이러한 설치 및 결선의 장애를 찾기가 아주 힘듭니다. 하단의 배선 구성의 경우, 주소형 기기를 구역화 하여 장애 구간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배선 구성은 하단과 같이 구성하시기를 권장합니다.
입력 중계기의 경우, 중계기 2차측(부하측)의 회로에 접지가 발생되면, 신호선로회로의 접지 장애로 나타나게 됩니다. 특히 탬퍼 스위치나 압력스위치와 같이 물이 존재할 수 있는 곳에서 발생할 확율이 높으므로, 해당 지역부터 확인을 하시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루프제어카드(LCM-320 / LEM-320) 혹은 주소형 기기의 고장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루프제어카드에서 신호선로회로를 끊어, 장애가 없어지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장애가 없어지지 않을 경우, 루프제어카드 내부에서 접지가 발생되는 것이므로, 루프제어카드의 하드웨어 고장이라고 판단하여야 합니다.
주소형 기기의 경우, 고장이 발생하면 해당 기기는 정상 통신을 할 수 없으므로, 해당 채널에 응답없음(NO ANSWER) 장애가 있는 주소형 기기들을 신호선로회로에서 제거했을때, 장애가 없어지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신호선로회로에서 제거했을때, 장애가 없어지는 기기는 고장이라고 판단해야 합니다.
이 경우, Technical Service Request 참조
재 구매를 원하시는 경우, 루프 제어 모듈 Loop Control Module 를 참조하시어, 판매 대리점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루프제어카드에 접지 장애가 오래 지속될 경우, R99번과 R100번에 변색 및 소손이 발생하게 됩니다.
저항의 위치는 LCM-320, LEM-320이 서로 다르며, 기판의 버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장애를 없애기 위해, 루프제어모듈의 좌측 상단 고정용 볼트를 설치하지 않거나 느슨하게 설치하고, 볼트와 모듈카드의 접촉 부위에 이물질을 넣는 경우가 종종 발견되고 있습니다. 그렇게 하면, 장애가 없는 것으로 시스템을 속일 수 있으나, 그렇다고 루프제어카드가 정상 동작중인 것은 아닙니다. 특히, 앞서 언급하였듯이, 이 장애가 지속 될 경우, 수 일 이내 루프제어카드가 고장 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위의 사진에서 둘중 하나는 외함과 접속되어야 하며, 다른 하나는 LCM-320 혹은 LEM-320과 접속 되어야 합니다.